본문 바로가기

경사자집25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삼국지』 「촉서」: 제갈량전 2019.03.04 출사 이전의 제갈량 諸葛亮字孔明, 琅邪陽都人也. 漢司隷校尉諸葛豐後也. 父珪, 字君貢, 漢末爲太山郡丞. 亮早孤. 從父玄爲袁術所署豫章太守, 玄將亮及亮弟均之官. 會漢朝更選朱皓代玄. 玄素與荊州牧劉表有舊, 往依之. 玄卒, 亮躬耕隴畝, 好爲梁父吟. 身長八尺, 每自比於管仲、樂毅, 時人莫之許也. 惟博陵崔州平、潁川徐庶元直與亮友善, 謂爲信然. 제갈량은 자가 공명(孔明)이고 낭야군(琅邪郡) 양도현(陽都縣) 사람이다. 한나라 사예교위 제갈풍(諸葛豊)의 후손이다. 아버지 제갈규(諸葛珪)는 자가 군공(君貢)이며, 한나라 말기에 태산군승(泰山郡丞)을 지냈다. 제갈량은 일찍 부모를 여의었다. 종부(從父) 제갈현(諸葛玄)이 원술에게 예장태수에 임명되자, 제갈현은 제갈량과 그의 동생 제.. 2019. 3. 4.
[맹자] 양上-6. 사람 죽이기를 즐기면 안 됩니다(不嗜殺人) 양혜왕장구上 (6) : 불기살인(不嗜殺人) 孟子見梁襄王. 맹자가 양 양왕을 뵈었다. 襄王, 惠王子, 名赫. 양왕은 혜왕의 아들이고 이름은 혁(赫)이다. 出語人曰: “望之不似人君, 就之而不見所畏焉. 卒然問曰: ‘天下惡乎定?’ 吾對曰: ‘定于一.’ 맹자가 왕을 뵙고 나와서 다른 사람에게 말했다. “멀리서 바라보아도 임금답지 않고 가까이 나아가도 경외할 만한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그가 갑자기 이렇게 물었다. ‘천하가 어느 나라에게 평정되겠습니까?’ 내가 이렇게 답했다. ‘하나로 합쳐진 다음에 안정될 것입니다.’ 語, 告也. 不似人君, 不見所畏, 言其無威儀也. 卒然, 急遽之貌. 蓋容貌辭氣乃德之符, 其外如此, 則其中之所存者可知. 王問列國分爭, 天下當何所定, 孟子對以必合於一然後定也. ‘語’(어)는 알려준다는 뜻이.. 2019. 2. 7.
[맹자] 양上-5. 어진 이에게는 대적할 자가 없다 양혜왕장구上 (5) : 가사제정(可使制梃) 梁惠王曰: “晉國天下莫强焉, 叟之所知也. 及寡人之身, 東敗於齊, 長子死焉, 西喪地於秦七百里, 南辱於楚. 寡人恥之, 願比死者一洒之, 如之何則可?” 양혜왕이 말했다. “진나라가 천하에 막강하다는 것은 어르신께서도 아시는 바입니다. 과인의 몸에 이르러서는 동쪽으로 제나라에 패배하고 장자가 죽었습니다. 서쪽으로는 진나라에게 땅 700리를 잃었습니다. 남쪽으로는 초나라에 모욕을 당했습니다. 과인은 그것을 부끄럽게 여겨서 죽은 자들을 위해 원수를 한번 갚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魏本晉大夫魏斯與韓氏趙氏共分晉地, 號曰三晉, 故惠王猶自謂晉國. 惠王三十年, 齊擊魏破其軍, 虜太子申. 十七年, 秦取魏少梁, 後魏又數獻地於秦. 又與楚將昭陽戰敗, 亡其七邑. 比, 猶爲也. 言欲.. 2018. 11. 23.
[맹자] 양上-4. 칼로 죽이나 정치로 죽이나(以刃與政) 양혜왕장구上 (4) : 이인여정(以刃與政) 梁惠王曰: “寡人願安承敎.” 양혜왕이 말했다. “과인은 편안히 가르침을 받기를 원합니다.” 承上章, 言願安意以受敎. 앞장에 이어서 편안한 마음으로 가르침을 받기를 원한다고 말한 것이다. 孟子對曰: “殺人以梃與刃, 有以異乎?” 曰: “無以異也.” 맹자가 말했다. “사람을 죽이는 데 몽둥이나 칼이나 차이가 있습니까?” 왕이 말했다. “다를 것이 없습니다.” 梃, 杖也. ‘梃’(정)은 몽둥이다. “以刃與政, 有以異乎?” 曰: “無以異也.” “칼로 죽이나 정치로 죽이나 차이가 있습니까?” 왕이 말했다. “다를 것이 없습니다.” 孟子又問, 而王答也. 맹자가 다시 묻고 왕이 답한 것이다. 曰: “庖有肥肉, 廐有肥馬, 民有飢色, 野有餓莩, 此率獸而食人也. 맹자가 말했다. “.. 2018. 6. 9.
[맹자] 양上-3. 흉년을 탓하지 마소서(王無罪歲) 양혜왕장구上 (3) : 왕무죄세(王無罪歲) 梁惠王曰: “寡人之於國也, 盡心焉耳矣. 河內凶, 則移其民於河東, 移其粟於河內, 河東凶, 亦然. 察鄰國之政, 無如寡人之用心者, 鄰國之民不加少, 寡人之民不加多, 何也?” 양혜왕이 말했다. “과인은 나라에 마음을 다할 뿐입니다. 하내(河內: 지명)에 흉년이 들면 그곳의 백성을 하동(河東: 지명)으로 이동하게 하고 하내에 곡식을 옮겨가게 합니다. 하동에 흉년이 들면 역시 그렇게 합니다. 이웃 나라의 정치를 살펴보면, 과인이 마음을 쓰는 것처럼 하는 자가 없는데도 이웃나라 백성이 더 적어지지 않고 과인의 백성이 더 많자지지 않습니다. 어째서입니까?” 寡人, 諸侯自稱, 言寡德之人也. 河內ㆍ河東, 皆魏地. 凶, 歲不熟也. 移民以就食, 移粟以給其老稚之不能移者. ‘寡人’(과인).. 2018. 6. 7.
이백 -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봄 밤에 도리원 연회에서 지은 시문의 서문 이백 ▲ 명나라 때 춘야연도리원서에 담긴 내용을 그린 그림 夫天地者, 萬物之逆旅, 光陰者, 百代之過客, 而浮生若夢, 爲歡幾何? 古人秉燭夜遊, 良有以也. 況陽春召我以煙景, 大塊假我以文章! 會桃李之芳園, 序天倫之樂事, 群季俊秀, 皆爲惠連, 吾人詠歌獨慚康樂. 幽賞未已, 高談轉淸. 開瓊筵以坐花, 飛羽觴而醉月, 不有佳作, 何伸雅懷? 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 무릇 천지(天地)는 만물을 맞이하는 여관이요, 세월[光陰]은 백대(百代)의 지나가는 손님이다. 덧없는 인생 꿈과 같으니 기뻐할 일이 얼마나 되겠는가? 옛사람이 촛불을 들고 밤에도 노닌 것은 진실로 까닭이 있었구나. 하물며 따뜻한 봄날이 아지랑이 피어오르는 아름다운 경치로 나를 부르고, 천지.. 2018. 6. 6.
[맹자] 양上-2. 백성과 함께 즐거워 한다(與民偕樂) 양혜왕장구上 (2) : 여민해락(與民偕樂) 孟子見梁惠王, 王立於沼上, 顧鴻鴈麋鹿曰: “賢者亦樂此乎?” 맹자가 양혜왕을 뵈었다. 왕은 연못가에 서서 기러기와 사슴을 둘러보며 말했다. “어진 자도 이런 것들을 즐거워합니까?” 沼, 池也. 鴻, 鴈之大者. 麋, 鹿之大者. ‘沼’는 연못이다. ‘鴻’은 큰 기러기를 말한다. ‘麋’는 큰 사슴을 말한다. 孟子對曰: “賢者而後樂此. 不賢者, 雖有此, 不樂也.” 맹자가 대답하여 말했다. “어진 자여야 이러한 것들을 즐거워할 수 있습니다. 어질지 못한 자는 비록 이러한 것들을 가져도 즐거워할 수 없습니다. 此一章之大指 이것은 한 장의 큰 요지이다. 詩云: ‘經始靈臺, 經之營之, 庶民攻之, 不日成之. 經始勿亟, 庶民子來. 王在靈囿, 麀鹿攸伏, 麀鹿濯濯, 白鳥鶴鶴. 王在靈沼.. 2018. 6. 2.
[晉書]진수(陳壽) 열전 『진서』: 「진수 열전」 ▲둔황에서 발견된 『삼국지』 필사본 중 일부(진수가 쓴 원본이라는 의미가 아님) 陳壽字承祚, 巴西安漢人也. 少好學, 師事同郡譙周, 仕蜀爲觀閣令史. 宦人黃皓專弄威權, 大臣皆曲意附之, 壽獨不爲之屈, 由是屢被譴黜. 진수(陳壽)의 자는 승조(承祚)이며 파서(巴西) 안한(安漢)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같은 군(郡) 사람인 초주(譙周)를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았으며, 촉나라에 출사하여 관각영사(觀閣令史)가 되었다. 환관 황호(黃皓)가 권세를 독차지해 제멋대로 휘두르니 대신들은 모두 뜻을 굽혀 그를 따랐으나 진수만은 유독 굽히지 않았다. 이 때문에 여러 번 쫓겨났다. *貶議(폄의): 누군가를 깎아내리는 평가 遭父喪, 有疾, 使婢丸藥, 客往見之, 鄕黨以爲貶議. 及蜀平, 坐是沈.. 2018. 5. 23.
굴원 - 어부사(漁父辭) 어부사(漁父辭) 굴원 屈原旣放, 游於江潭, 行吟澤畔, 顔色憔悴, 形容枯槁.굴원이 쫓겨나 강과 연못에서 노닐어 호숫가에서 시를 읊으며 걷는데 안색은 초췌하고 용모는 파리했다. 漁父見而問之曰: “子非三閭大夫與? 何故至於斯?”어부가 그를 보고 물었다. “당신은 삼려대부가 아니십니까? 어째서 이 지경에 이르렀습니까?” 屈原曰: “擧世皆濁, 我獨淸, 衆人皆醉, 我獨醒, 是以見放.”굴원이 말했다. “온 세상이 모두 흐린데 나 홀로 맑고, 뭇사람이 모두 취했는데 나 홀로 깨어 있으니 이 때문에 쫓겨난 것이오.” 漁父曰: “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世人皆濁, 何不淈其泥而揚其波? 衆人皆醉, 何不餔其糟而歠其醨? 何故深思高擧, 自令放爲?”어부가 말했다. “성인은 사물에 막히거나 구애되지 않고 세상과 함께 변해 옮아갑니.. 2018. 5. 11.
이사 - 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 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다른 나라 사람을 쫓아내는 것에 관해 진나라 황제에게 올리는 글 이사 ▲현대에 그려진 이사의 모습 臣聞吏議逐客, 竊以爲過矣. 신이 듣기로는 관리들이 객(客: 다른 나라 사람)을 쫓아낼 것을 의논한다는데, 저는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昔者, 繆公求士, 西取由余於戎, 東得百里奚於宛, 迎蹇叔於宋, 來邳豹公孫支於晉, 此五子者, 不産於秦, 而繆公用之, 幷國二十, 遂霸西戎.옛날에 목공(穆公)께서 선비를 구하여 서쪽으로는 융(戎)에서 유여(由余)를 기용했고, 동쪽으로는 완(宛)에서 백리해(百里奚)를 얻었으며, 송(宋)에서 건숙(蹇叔)을 맞아들였고, 진(晉)에서 비표(邳豹)와 공손지(公孫支)를 데리고 왔습니다. 이 다섯 사람은 진나라에서 태어나지 않았지만 목공께서는 그들을 등용하여 스.. 2018.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