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저 정리/한국 근현대사6

일제의 한국 식민지화와 문명화(1904~1919) 권태억, 2014, 『일제의 한국 식민지화와 문명화(1904~1919)』, 서울대 출판부 2020.01.29. Ⅰ. 제국주의 침략기 문명화 사명론과 일본 1. ‘문명화 사명’과 국제법 유럽의 제국주의 열강들은 아시아ㆍ아프리카 지역을 식민지로 만들어 지배할 때 내세운 합리화의 논리가 바로 ‘문명화’였다. 그것은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화하면서 ‘문명화’의 구호를 내세웠다. ‘文明’은 본래 일본이 Civilization이라는 어휘를 번역해서 만들어낸 어휘다. Civilization의 어원인 civilisㆍcivilitas는 본래 ‘시민이 지켜야 할 예의범절’을 뜻했다. ‘문명’의 의미가 오늘날과 같은 의미를 지닌 것은 18세기 이후다. Civilization도 18세기 프랑스에서 등장한 신.. 2020. 1. 31.
대한제국의 서울 황성 만들기 이태진, 2000, 「대한제국의 서울 황성 만들기-최초의 근대적 도시개조사업」,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이태진은 대한제국기 도시개조사업의 중요성에 주목한 김광우의 연구로 논의의 첫머리를 시작한다. 김광우는 한국 도시계획의 역사를 ‘시가지 경영의 시대’(1894~1936)와 ‘시가지 계획의 시대’(1936~)로 나누고, 다시 ‘시가지 경영의 시대’를 두 단계로 나누었다. 첫 단계는 김옥균과 박영효가 치도론(治道論)을 제기했던 때부터 한성부가 치도사업을 진행했던 때까지이다. 두 번째 단계는 이토 히로부미의 도시시설 정책이 추진되던 때부터 조선총독부의 경성시구개정이 이루어지기까지이다. 김광우는 특히 첫 단계에 주목하면서, 도로정비ㆍ방사상 및 환상도로 부설ㆍ주요건물과 도로의 연결 등 이 시기 도시개조사업.. 2018. 5. 3.
1970년대 중ㆍ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시행과 ‘교육격차’ 정무용, 「1970년대 중ㆍ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시행과 ‘교육격차’」(『역사문제연구』 29, 2013) 머리말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평준화는 입시문제와 동일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평준화는 추첨식 입학제를, 비평준화는 자유경쟁시험을 치는 입학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평준화와 비평준화의 의의를 자율성 : 획일성 또는 평등 : 경쟁이라는 이분법적인 구도로 평가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이런 사정은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의 추진과정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저자는 평준화 정책과 입학제도를 동일시하는 인식에 문제를 제기한다. 평준화 정책과 입시제도 사이에 긴밀한 연관성이 있기는 하지만, 둘은 엄연히 별개의 사안이라는 것이다. 즉, 입시제도가 학생을 선발하는 문제였다면, 평준.. 2018. 4. 27.
‘위안부’, 정신대, 공창, 성노예 강정숙, 2005, 「‘위안부’, 정신대, 공창, 성노예」, 『역사비평』 74 ▲'위안부' 소녀상 지금은 ‘위안부’라는 명칭이 익숙하지만, 기존에는 종군위안부나 정신대, 성노예라는 명칭과 혼용되기도 했다. 또 한편에서는 ‘위안부’를 공창으로 보는 시선도 존재했다. 이처럼 ‘위안부’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 것은 그들의 존재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위안부’가 제도적인 것이었느냐, 또는 강제성이 있었느냐의 여부에 따라 그 명칭도 달라졌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강정숙의 논의를 요약함으로써 각 명칭의 의미와 그 인식 차이를 드러내고자 한다. 1. 종군위안부, ‘위안부’, 정신대? 일단 ‘종군위안부’라는 표현은 일본에서 먼저 사용된 이름이다. 1970년대 이후 .. 2018. 4. 19.
대원군의 사회적 기반과 지지세력 안외순, 2000, 「대원군의 사회적 기반과 지지세력」, 『동방학』6 1. 머리말 저자는 대원군 연구가 주로 정치ㆍ군사적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권력 운용과 정책 집행의 방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정권의 지지기반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대원군 정권의 ‘사회계급적 지지기반’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대원군 정권이 지방의 상인과 부농, 하급 이서층을 지지기반으로 했다는 梶村秀樹와 대원군이 진보적 입장을 견지했다는 藤間生大의 평가가 있는데, 이는 실증된 적이 없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그래서 저자는 유림양반-농민-대원군 정권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원군 정권의 지지기반과 성격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2. 대원군과 양반유림의 관계 저자는 2장에서 대원군과 양반.. 2018. 4. 17.
한국 근대의 기점 논의 「토론 : 한국 근대의 기점 논의」, 『역사와 현실』 9, 1993발제 : 장동표, 이윤상, 도면회토론 : 도진순, 이헌창, 이세영, 이영호(사회) 1. 도입 역사학에 있어서 시대구분은 상당히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근대’의 개념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것은 한국의 전근대 시기와 근대 시기를 나누는 기준을 설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 토론회에서는 이러한 ‘근대’의 기점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토론회가 개최된 배경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한국역사연구회 내부의 문제로, 한국사 개설서를 출간하는 과정에서 “한국사를 어떻게 체계화할 것인가 하는 문제, 즉 시대구분의 문제”가 출판 일정으로.. 2018.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