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종석3

「1356(공민왕 5)~1369년(공민왕 18) 고려-원 관계의 성격」을 읽고 「1356(공민왕 5)~1369년(공민왕 18) 고려-원 관계의 성격」을 읽고 2019.12.05 최종석은 한 연구에서 다음의 두 가지를 논증하려 했다. ①몽골 복속기에 이어지던 고려-원 관계가 1356년에도 기본적으로 지속했다. ②전통적인 책봉-조공 관계는 몽골 복속기에 ‘본래적’ㆍ‘당위적’ 양상으로 변화했고, 그런 특징은 1356년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나는 두 번째 견해에는 동의할 수 있지만, 첫 번째 견해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고려에 대한 원의 영향력은 1356년을 기점으로 확실히 약해지는데, ①의 주장은 이런 변화의 의미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는다. 원은 1356년 이전까지 고려의 국정에 막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강남의 ‘한적’(漢賊)을 진압하는 데 애를 먹던 원은 1354년(공민왕 3).. 2019. 12. 6.
반원운동에 관한 연구사 정리 반원운동에 관한 연구사 정리 2019.12.05 공민왕은 1356년 5월에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결단을 내렸다. 원(元)과 결탁해서 권세를 휘두르던 기철 일가와 ‘부원세력’을 일시에 숙청하고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했다. 아울러 압록강 서쪽의 8참을 공격하고, 동북쪽에 군사를 보내 쌍성 등의 지역을 되찾았다. 공민왕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각 군의 만호ㆍ진무ㆍ천호ㆍ백호가 지닌 패를 회수했다. 이 일련의 조치는 공민왕의 계획 아래 치밀하게 진행되었고, 결국 그는 이 사건을 계기로 국정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오늘날 ‘반원운동’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은 워낙 전격적이고 극적으로 이루어졌던 만큼 많은 한국사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다.[각주:1] ‘반원운동’을 고려의 국내외적 조건 속에서 종합적으.. 2019. 12. 6.
조선초기 ‘시왕지제’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최종석, 2010, 「조선초기 ‘時王之制’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조선시대사학보』 52 2019.07.30. 1. 머리말 필자는 이전 작업에서 여말선초의 사회적ㆍ문화적 변동의 성격을 재검토했다. 그에 따르면, 전통적인 성황 제의와 입지는 여말선초에 이질적인 명의 성황 제의로 대체되었다. 그런 움직임은 중화 보편을 추구하는 담론 환경에서 ‘時王之制’를 준용하여 중화 보편 질서를 구축하려는 것이었다. 필자는 기존 작업의 연장선에서 時王之制 문제를 본격적으로 검토하려고 한다. 연구의 기본적인 관점은 ‘중화 보편 질서’ 속에서 제후국의 分義를 준수하려는 지적ㆍ사회적 분위기 아래 종주국 제도의 의미와 위상이 이전과 달라지면서 구체적인 시왕지제 수용 문제가 대두했다는 것이다. 필자에 따르면, 기.. 2019.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