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혜왕장구5

[맹자] 양下-3. 이웃나라와 사귀는 방법(寡人好勇) 양혜왕장구下 (3) : 과인은 용맹함을 좋아합니다(寡人好勇) 齊宣王問曰: “交鄰國, 有道乎?” 孟子對曰: “有. 惟仁者, 爲能以大事小, 是故湯事葛, 文王事昆夷. 惟智者, 爲能以小事大, 故大王事獯鬻, 句踐事吳. 제 선왕이 물었다. “이웃나라와 교류하는 데 방법이 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있습니다. 어진 사람만이 큰 나라로 작은 나라를 존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탕(湯)이 갈나라[葛]를 존중하고 문왕(文王)이 곤이(昆夷)를 존중했던 것입니다. 지혜로운 자만이 작은 나라로 큰 나라를 섬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태왕(太王: 고공단보)이 훈육(獯鬻)을 섬기고 구천이 오(吳)를 섬긴 것입니다. 仁人之心, 寬洪惻怛, 而無較計大小强弱之私, 故小國雖或不恭, 而吾所以字之之心自不能已. 智者明義理, 識時勢, 故大國雖.. 2020. 2. 12.
[맹자] 양下-2. 문왕의 동산, 제 선왕의 동산(文王之囿) 양혜왕장구下 (2) : 문왕지유(文王之囿) 齊宣王問曰: “文王之囿, 方七十里, 有諸?” 孟子對曰: “於傳有之.” 제 선왕이 물었다. “문왕(文王)의 동산[囿]은 사방이 70리였다고 하는데, 그런 사실이 있습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옛 기록에 그런 말이 있습니다.” 囿者, 蕃育鳥獸之所. 古者四時之田, 皆於農隙以講武事. 然不欲馳騖於稼穡場圃之中, 故度閒曠之地以爲囿. 然文王七十里之囿, 其亦三分天下, 有其二之後也與. 傳, 謂古書. ‘囿’(유)는 새와 짐승을 번식시키고 기르던 곳이다. 옛날에는 사시(四時)의 사냥은 모두 농한기에 하여 무사(武事)를 익히는 것이었다. 그러나 곡식을 심고 거두는 채마밭[場圃] 안에서 말을 달리려고 하지 않았으므로 한가롭고 빈 땅을 헤아려 동산을 만들었다. 그러나 문왕의 70리 동산.. 2019. 8. 26.
[맹자] 양下-1. 음악을 좋아해도 괜찮습니까?(莊暴見孟子) 양혜왕장구下 (1) : 장포견맹자(莊暴見孟子) 莊暴見孟子, 曰: “暴見於王, 王語暴以好樂, 暴未有以對也. 曰好樂何如?” 孟子曰: “王之好樂甚, 則齊國其庶幾乎!” 장포(莊暴)가 맹자를 만나서 이렇게 말했다. “제가 왕을 알현하자 왕이 제게 음악을 좋아한다고 말했는데, 제가 대답할 수 없었습니다. 음악을 좋아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맹자가 대답했다. “왕이 음악을 몹시 좋아하신다면 제나라는 아마도 치세(治世)에 거의 가까워질 것입니다.” 莊暴, 齊臣也. 庶幾, 近辭也, 言近於治. 장포(莊暴)는 제의 신하다. ‘庶幾’(서기)는 가깝다는 말이니, 잘 다스려지는 경지에 가까워진다고 말한 것이다. 他日見於王, 曰: “王嘗語莊子以好樂, 有諸?” 王變乎色, 曰: “寡人非能好先王之樂也. 直好世俗之樂耳.” 다른 .. 2019. 8. 26.
[맹자] 양上-7. 근본으로 되돌아가십시오(齊桓晉文) 양혜왕장구上 (7) : 제환진문(齊桓晉文) 齊宣王問曰: “齊桓晉文之事, 可得聞乎?” 제 선왕이 물었다. “제 환공과 진 문공에 관한 일을 들을 수 있겠습니까? 齊宣王, 姓田氏, 名辟彊, 諸侯僭稱王也. 齊桓公晉文公, 皆霸諸侯者. 제 선왕은 성이 전씨(田氏)이고 명이 벽강(辟彊)이며, 제후로서 왕을 참칭하였다. 제 환공과 진 문공은 모두 제후들의 우두머리였던 사람들이다. 孟子對曰: “仲尼之徒, 無道桓文之事者, 是以後世無傳焉, 臣未之聞也. 無以則王乎!” 맹자가 대답했다. “중니(仲尼: 공자)의 문도에 환공과 문공에 관한 일을 말한 사람이 없어서 후세에 전해지는 것이 없는지라 신도 듣지 못했습니다. [이야기하는 것을] 그만두지 말라고 하신다면 왕도(王道)에 관해 말해보겠습니다.” 道, 言也. 董子曰: “仲尼之門.. 2019. 8. 25.
[맹자] 양上-6. 사람 죽이기를 즐기면 안 됩니다(不嗜殺人) 양혜왕장구上 (6) : 불기살인(不嗜殺人) 孟子見梁襄王. 맹자가 양 양왕을 뵈었다. 襄王, 惠王子, 名赫. 양왕은 혜왕의 아들이고 이름은 혁(赫)이다. 出語人曰: “望之不似人君, 就之而不見所畏焉. 卒然問曰: ‘天下惡乎定?’ 吾對曰: ‘定于一.’ 맹자가 왕을 뵙고 나와서 다른 사람에게 말했다. “멀리서 바라보아도 임금답지 않고 가까이 나아가도 경외할 만한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그가 갑자기 이렇게 물었다. ‘천하가 어느 나라에게 평정되겠습니까?’ 내가 이렇게 답했다. ‘하나로 합쳐진 다음에 안정될 것입니다.’ 語, 告也. 不似人君, 不見所畏, 言其無威儀也. 卒然, 急遽之貌. 蓋容貌辭氣乃德之符, 其外如此, 則其中之所存者可知. 王問列國分爭, 天下當何所定, 孟子對以必合於一然後定也. ‘語’(어)는 알려준다는 뜻이.. 2019.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