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6

MBC 계약직 아나운서 고용 분쟁에 관한 단상 MBC 계약직 아나운서 고용 분쟁에 관한 단상 2019.07.22. 1. MBC 아나운서는 왜 계약직 아나운서의 정규직화를 반대하는가? “이제 어떻게든 MBC에 다시 들어와야겠다며 몸부림치는 너희의 모습이, 더이상 안쓰럽게만 느껴지지는 않는구나.” MBC 아나운서 손정은 씨가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에 올린 긴 글의 한 구절이다. 그는 밤새 고민한 끝에 어렵게 글을 썼다고 한다. 수신자는 MBC와 고용 문제를 두고 분쟁을 겪고 있는 계약직 아나운서들이었다. 그들이 MBC를 ‘직장 내 괴롭힘 방지법 위반’으로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 신고한 직후의 일이었다. 손정은 아나운서의 편지는 기사화되어 빠르게 퍼져나갔다. 네티즌의 반응은 뜨거웠다. 한편에서는 계약직 아나운서에게, 다른 한편에서는 손정은 아나운서에게 거친 비난.. 2019. 7. 22.
정도전과 권근의 생애와 사상 비교 강문식, 2004, 「鄭道傳과 權近의 생애와 사상 비교」, 『한국학보』 30 2019.07.15 1. 머리말 고려 말 신흥유신의 사상과 정치적 지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신흥 유신 개인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역성혁명파와 온건개혁파의 정치적사상적 특징을 밝혀낸 연구도 있다. 하지만 선행 연구들은 역성혁명파와 온건개혁파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그 차이점을 강조하다보니 정치적 입장의 차이를 학문적 입장의 차이로까지 연결 짓는 경우도 있다. 그들의 사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저술 자체가 부족한 상태에서 그들의 학문적 입장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해서는 곤란하다. 저자는 역성혁명파와 온건개혁파의 다양한 관계를 토대로 양쪽의 사상적 공통점과 정치적 지향의 차이점을 검토하려고 한다. 그가 구체적인 비교 대상.. 2019. 7. 15.
조선시대 결송입안과 여성의 소송 주체성 김경숙, 2018, 「조선시대 결송입안과 여성의 소송 주체성」, 『한국사론』 64 2019.07.13 1. 머리말 그간 조선시대 여성이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그들에게 요구되는 ‘婦德’에 순응하는 삶을 살아왔다고 이해했다. 이런 인식은 소송 문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소송에서 조선 여성의 주체성은 매우 제한적이었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통념과 달리 현존하는 決訟立案 중에는 권리를 침해당한 여성이 소송을 걸어 주체적으로 소송에 참여한 사례도 전한다. 저자는 1686년 해남현의 결급입안을 분석하여 林揀의 처 김씨의 쟁송 사건을 검토한다. 자신이 겪은 권리 침해에 대응하여 주체적으로 소송에 참여하는 여성의 모습을 이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결송입안과 여성의 소송 소송 판결문에 해당하는 결송입안.. 2019. 7. 13.
근사록집해 서문 (엽채 著) 근사록집해서(近思錄集解序) - 엽채(葉采) 著 - 2019.07.10 ▲ 『근사록집해』에 실린 엽채의 서문 皇宋受命, 列聖傳德, 跨唐越漢, 上接三代統紀. 至天禧明道間, 仁深澤厚, 儒術興行. 天相斯文, 是生濂溪周子, 抽關發矇, 啓千載無傳之學. 旣伊洛二程子關中張子, 纘承羽翼, 闡而大之. 聖學湮而復明, 道統絶而復續. 猗與盛哉! 위대한 송(宋)이 천명을 받고 열성께서 덕을 전하여 당(唐)과 한(漢)을 뛰어넘어 위로는 삼대(三代)의 강기(綱紀)를 이었다. 천희(天禧: 송 진종의 연호)와 명도(明道: 송 인종의 연호) 연간에 이르러서 인택(仁澤)이 깊고 두터워서 유술(儒術)이 흥행했다. 하늘이 사문(斯文)을 도와 염계(濂溪)의 주자(周子: 주돈이)을 낳고 빗장을 열어 어리석은 이들을 깨우치고 천년동안 전하지 않던 .. 2019. 7. 10.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론과 ‘생각하는 나’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론과 ‘생각하는 나’ 2013.06 데카르트는 『성찰』 제1장에서 방법론적 회의론을 제시한다. ‘방법론적 회의’는 조금이라도 의심할 수 있는 것을 모두 의심하여 결코 의심할 수 없는 것을 찾아내는 방법론을 뜻한다. 다시 말해서 데카르트는 ‘절대적으로 확실한 지식의 토대’를 찾아내 그 위에서 자신의 철학을 구축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래서 데카르트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것을 철저하게 전복하여 최초의 토대부터 다시 새로 시작해야 한다.” 데카르트의 방법론적 회의는 모두 세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그는 첫 번째 단계에서 인간이 감각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을 문제 삼는다. 인간이 ‘참’이라고 여겨온 것은 대개 그 감각기관을 통해 인식한 것들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종종 착시 현상을 경험한.. 2019. 7. 9.
정조의 ‘절대적 군주권’ 다시 보기 정조의 ‘절대적 군주권’ 다시 보기 2019.06.28 1. 머리말 2. 문체반정과 정조의 군주권 3. 선행 연구에 묘사된 정조의 절대적 군주권 4. 절대적 군주권의 실상과 ‘마키아벨리즘’ 문제 5. 맺음말 1. 머리말 아마도 정조 시대는 조선 후기 정치사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시기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1990년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탐구된 정조 시대는 그간 ‘개혁의 시대’ 혹은 ‘왕조의 중흥기’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정조 개인의 위상도 그에 걸맞게 변화하여 ‘개혁군주’나 ‘계몽군주’라는 평가가 무능하고 나약한 군주의 이미지를 대신했다.[각주:1] 이 재평가는 내재적 발전론의 관점에서 조선 후기 정치사를 재해석한 결과물이었다. 하지만 내재적 발전론이 영향력을 상실한 이후에도 정조 시대를 향한 관심.. 2019. 7. 5.
조선을 '가부장제' 사회로 불러도 좋은가? 조선을 '가부장제' 사회로 불러도 좋은가? - ‘종법’과 ‘가부장제’의 개념 문제에 관한 검토 - 2019.06.28 1. 조선의 가족질서 변화를 보는 시선 일반적으로 조선 시대의 가족질서는 17세기를 기준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고 본다. 고려의 유풍(遺風)이 남아있던 15~16세기에 양측적 친속체계가 여전히 남아있었다면, 17세기 이후에는 종법 질서가 확산하면서 부계 친족 중심의 가족질서가 일반적인 형태로 자리 잡았다고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17세기를 기점으로 가족질서가 달라졌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매우 많다.[각주:1] 조선 전기의 족보에는 자녀의 성별과 관계없이 출생 순서대로 족보에 기재했다. 친손과 외손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족보에 싣기도 했다. 재산 상속이나 제사 문제에서도 아들과 딸을 구.. 2019. 7. 1.
공민왕 대의 국왕 측근세력 형성 과정에 관한 검토 공민왕 대의 국왕 측근세력 형성 과정에 관한 검토 2019.06.22 1. 머리말 2. 즉위 직후의 정치적 동향과 호종 신료의 분열 3. 공민왕과 조일신 세력의 정치적 관계 4. 부원세력 제거와 측근세력의 결집 5. 맺음말 1. 머리말 공민왕 대(1351~1374)의 고려는 안팎으로 중대한 변화와 위기를 마주했다. 대외적으로는 원(元)의 통치력이 급격히 약해지는 한편 장강 이남에서 홍건적 등의 반원세력(反元勢力)이 봉기했다. 고려가 홍건적과 왜구의 침략에 시달려야 했던 배경에는 그런 국제질서의 변동이 있었다. 국내의 상황도 녹록지 않았다. 원과 결탁한 부원세력(附元勢力)의 전횡과 지배계층의 대민수탈은 고려의 존립을 위협할 만큼 심각했다. 공민왕 대는 이러한 대내외적인 변화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해법들을.. 2019. 7. 1.
『흥부전』이라는 프리즘으로 본 한국의 빈부 차별 『흥부전』이라는 프리즘으로 본 한국의 빈부 차별 - 흥부ㆍ놀부 인식의 변화와 빈부 차별의 존재 양상 - 2019.06.24 1. 머리말 2. 『흥부전』에 보이는 가난의 실상과 빈부 차별 (1) 흥부가 경험한 가난의 현실 (2) 작품 속의 빈부 차별 사례 3. 흥부ㆍ놀부의 위상 변화와 빈부 차별 (1) 조선 시대의 흥부ㆍ놀부 인식: 측은지심과 수오지심 (2) 현대인의 흥부ㆍ놀부 인식: 자본주의적 맥락에서 뒤바뀐 주인공의 위상 4. 맺음말 1. 머리말 사회경제적 양극화의 심각성을 지적하는 기사들이 날마다 쏟아진다. 일자리와 소득은 말할 것도 없고 영양섭취와 주거환경, 교육수준 등 모든 영역에서 빈부에 따른 격차는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날로 심해지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확실히 한국 사회가 시급히 해결해야.. 2019. 6. 30.
조선 사회의 유교화와 여성의 위상 이남희, 「조선 사회의 유교화와 여성의 위상 –15ㆍ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8, 2011) 정리일자: 2019.05.29 1. 머리말 저자는 15~16세기 족보를 통해 조선 시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검토하려고 한다. 조선 사회의 유교화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매우 중대한 변화를 초래했다. 2. 족보와 사회사 (1) 자료로서의 족보 한 씨족 시조 이하의 모든 구성원을 수록하는 형태의 족보가 나타난 시점은 15세기 이후기는 하지만, 15~16세기에도 족보 간행이 활발했던 것은 아니었다. 왕조 교체로 인한 정치적ㆍ사회적 혼란은 조선 초기에 족보 간행이 활발하지 못했던 배경 중 하나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15~16세기의 족보 편찬은 중앙정계에서 활동한 인물을 .. 2019.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