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문식3 여말선초 성리학의 수용과 그 성격 강문식, 2018, 「여말선초 성리학의 수용과 그 성격」, 『역사비평』 122 2019.12.09 1. 여말선초 성리학 연구 시각에 대한 문제 제기 고려 말 성리학 수용은 사상사 전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런 이유로 많은 연구자들이 여말선초 성리학의 성격과 수용과정에 관해 많은 논저를 발표했다. 그러나 저자는 오랜 연구에 비해 여말선초 성리학의 성격과 역사적 의미가 충분히 밝혀지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그에 따르면 일차적인 원인은 자료 부족에 있지만, 여말선초 성리학을 보는 연구자들의 기존 시각에도 문제점이 있다고 한다. 저자는 기존의 연구 시각에 두 가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①여말선초 성리학과 16세기 이후의 성리학을 서로 다른 것으로 본다. ②고려 말 성리학을 수용한 사대부의 정.. 2019. 12. 9. 정도전과 권근의 생애와 사상 비교 강문식, 2004, 「鄭道傳과 權近의 생애와 사상 비교」, 『한국학보』 30 2019.07.15 1. 머리말 고려 말 신흥유신의 사상과 정치적 지향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신흥 유신 개인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역성혁명파와 온건개혁파의 정치적사상적 특징을 밝혀낸 연구도 있다. 하지만 선행 연구들은 역성혁명파와 온건개혁파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그 차이점을 강조하다보니 정치적 입장의 차이를 학문적 입장의 차이로까지 연결 짓는 경우도 있다. 그들의 사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저술 자체가 부족한 상태에서 그들의 학문적 입장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해서는 곤란하다. 저자는 역성혁명파와 온건개혁파의 다양한 관계를 토대로 양쪽의 사상적 공통점과 정치적 지향의 차이점을 검토하려고 한다. 그가 구체적인 비교 대상.. 2019. 7. 15. 송시열의 『주자대전』 연구와 편찬 강문식, 2008, 「송시열의 『주자대전』 연구와 편찬」, 『한국문화』 43 1. 서론 16세기 이후 朱子書 選本과 그에 대한 주석서가 지속적으로 편찬되었다. 이는 이황의 『주자서절요』 편찬 이후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에서 모두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주자서의 편찬은 250여 년 이상 지속되었는데, 저자는 이것이 조선 중기 이후 주자성리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이해가 심화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 중에서 특히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송시열의 『朱子大典箚疑』와 『節酌通編』이다. 이 저술들은 17세기 주자학을 비판하는 학문 경향의 등장에 위기감을 느낀 송시열이 주자학 연구에 전념한 결과물이자, 주자학 연구의 주도권이 영남학파에서 기호학파로 이전되는 변화의 첫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에 저자는 .. 2018. 4.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