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저 정리/한국 고대사3 선종구산문과 선문예참문의 문제점 허흥식, 1983, 「선종구산문과 선문예참문의 문제점」, 『역사교육논집』 5 2020.03.18. 그동안 한국사 연구에서는 나말여초에 선종이 성행하여 구산문(九山門)이 성립했다고 설명해왔다. 허흥식의 이 논문은 『선문조사예참문』(禪門祖師禮懺文)을 분석해서 신라 말에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이 성립했다는 종래의 설명 틀을 재검토하려는 글이다. 저자는 선종 조사에 대한 배례 의식을 수록한 『선문조사예참문』이 다른 저술에 비해서 “고려시대의 선종을 개괄해서 법맥(法脈)을 유추”하기에 훨씬 더 유용한 저작이라고 지적한다. 그의 설명에 의하면, 이 책에는 중국의 선종 조사 서른세 명뿐만 아니라 한국 측의 조사 열 사람에 대한 예참문도 실려있다. 이 열 명 중 아홉 사람은 나말여초에 활동했던 조사고, 나머지 한 사람.. 2020. 3. 20. 신라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 최병헌, 1972, 「신라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 –최치원의 四山碑銘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7 2020.03.18. 서언 최치원이 작성한 ‘四山碑銘’은 신라 하대의 불교사를 연구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자료라 한다. 저자는 이 글에서 최치원의 사산비명을 검토하여 신라 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이 어떤 역사적 의미를 지니는지 밝히려 한다. 사산비명을 중심으로 신라 하대의 선종사를 검토하기 때문에 저자는 검토 범위의 하한을 진성여왕 대로 설정했다. 1. 선종 성립 이전의 신라 불교 최치원은 불교가 백제ㆍ고구려ㆍ신라 순으로 수용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특히 신라의 불교 수용이 율령 반포 이후 8년 만에 이루어졌음을 특기했다. 당시 신라인들은 율령 반포를 전후한 법흥왕 대의 정치적 변혁을 대단히 중시했을 뿐 아니라 .. 2020. 3. 20. 발해사 연구에서의 국가와 민족 이성시, 「발해사 연구에서의 국가와 민족」(『만들어진 고대』, 삼인, 2001) 1. 머리말최근 십수 년 사이 발해사 연구는, 대체로 각 민족, 국가에 속하는 연구자의 특색 있는 문제 의식이 뚜렷하게 보이며 저마다 중요한 논점이 드러나 있다. 이에 1절에서는 연구들의 개요와 발해서 연구의 현상과 주요 논점을 거론하겠다. 2절에서는 박시형, 이우성 두 사람에 의해 제기된 ‘남북국 시대’론을 검토하고 한국사 체계 자체의 개편 기도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3절에서는 남북한에서의 발해사 연구 논점을 정리하고 그것들을 구체적으로 비판 ․ 검토하며, 4절에서는 ‘남북국 시대’론의 틀이 가진 문제점을 민족 ․ 국가관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2. 발해사 연구의 여러 양상 ① 태평양전쟁 패전 전의 일본태평.. 2018. 5.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