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3

의고(疑古)와 신고(信古) 의고와 신고: 고대 중국 사상 연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제: 疑古與信古之間-以古代中國思想的硏究爲例(林啓屏, 2007, 『從古典到正典』)] 2022.09.28 1. 서론 연구목적과 내용 출토문헌이 날로 많아지는 오늘날 다시 한번 고대 사상 연구의 문제와 의의를 면밀히 살펴보려고 한다. 우선 疑古 사조의 내용을 검토하고 王國維의 견해를 빌려 고대를 과도하게 의심하거나 신봉하는 것이 비합리적인 연구 태도임을 지적한다. 다음으로 『중용』에 대한 勞思光과 牟宗三 두 선생의 관점을 예로 들어 고대문헌, 특히 이론적 해석이 필요한 철학문헌에 대해 의고와 신고의 태도가 어떻게 학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몇 가지 반성을 제기하고 출토 문헌이 오늘날 고대 사상 연구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설.. 2022. 9. 29.
국장도감 도청의궤 편목 구성의 변화 국장도감 도청의궤 편목 구성의 변화 2022.06.29 도청의궤가 포함된 가장 오래된 국장도감의궤는 바로 『인조국장도감의궤』(1649)다. 여기서는 이 의궤를 기준으로 이후의 도청의궤 체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인조국장도감의궤』(이하 『인조의궤』)부터 『영조국장도감의궤』(이하 『영조의궤』)까지 국왕 국장도감 도청의궤 체재를 살펴보면 아래의 과 같다. 『인조의궤』가 17-18세기의 나머지 의궤와 구분되는 가시적인 차이점은 총목차가 없다는 점이다. 그 체재에 ‘좌목’이 없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물론 내용상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효종의궤』에서 『영조의궤』의 총목차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것은 ‘좌목’인데, 이 항목은 이조단자와 도감사목단자로 구성되었다. 『인조의궤』에도 책머리.. 2022. 9. 22.
조선시대 대비 지위와 인조반정의 재검토 오수창, 2022, 「조선시대 대비 지위와 인조반정의 재검토―계승범 교수의 『모후의 반역』 비판」, 『역사비평』 140 2022.09.16 모후의 반역선조와 의인왕후는 혼인한 지 20년이 넘도록 자식이 없었다. 대군이 없으면 군이라도 하루빨리 세자로 책봉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지만 선조는 탐탁지 않게 여기고 후계자 선정에 반대했다. 이런 상황에서 발발한 임진왜란은 선조로서도 더 이상 후계자 선정을 미룰 수 없게 만들었다. 마침내 선조와 신료들의 합의에 따라 광해군이 세자의 지위에 올랐다. 광해군은 선조의 후궁인 공빈 김씨의 아들로, 적자도 아니고 맏아들도 아니었다. 하지만 선조의 여러 왕자들 가운데 광해군은 가장 총명하고 어진 성품으로 신료들의 신망을 받았다. 왜군이 한양까지 점령한 상황에서 선조는 요동.. 2022. 9. 16.
인정과 의리의 갈등, 법과 윤리의 간극 인정과 의리의 갈등, 법과 윤리의 간극 20220704 1. 정경문 살해사건의 경위와 처분 황해도 해주에서 정경문鄭景文이라는 사람이 과부寡婦인 조씨趙氏와 간통하다가 죽임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786년(정조 10) 11월에 벌어진 일이었다. 이 사건의 전말과 결과는 『일성록』과 『심리록』, 『추관지』와 『흠흠신서』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이 기록들을 토대로 사건의 경과와 결과를 검토할 것이다. 굳이 이 사건을 검토하려는 이유는 실행失行한 사족 여성에 대한 사건 관련자와 국가의 태도에 미묘한 차이가 감지되기 때문이다. 그 차이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려 한다. 일단 사건의 개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경문과 밀회를 나눈 조씨는 사족 여성으로 이씨 집안에 시집갔다가 일찍 남편을 여.. 2022. 7. 4.
정시한의 율곡 비판 전략과 의도 정시한의 율곡 비판 전략과 의도 2022.06.13. 1. 들어가며 2. 퇴계의 「심통성정도」와 율곡의 비판 3. 정시한의 퇴계 지지와 율곡 비판 (1) 퇴계 학설 ‘답습’의 의도 (2) 퇴계 학설 중심의 율곡 비판과 ‘이단화’ 4. 나가며 1. 들어가며 17세기는 퇴계와 율곡의 학설을 둘러싸고 다양한 학술 담론이 등장하던 시기다. 한편에는 율곡학파가 형성되었다. 주로 서인계 인물들로 구성된 이들은 정치적으로 결집하는 과정에서 율곡의 저술을 모으고 문집을 간행하는 학술 활동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율곡을 문묘에 배향하려는 시도 역시 그런 노력의 연장선에서 등장한 것이다. 하지만 또 한편에는 그런 움직임에 대응해서 퇴계의 학설을 중심으로 율곡을 비판하는 이들도 있었다. 愚潭 丁時翰(1625~1707)도 그중.. 2022. 6. 21.
효종의 국장 및 실록인출, 천릉역사에 참여한 각수 연구 효종의 국장 및 실록인출, 천릉역사에 참여한 각수 연구 (김상호, 2010, 효종의 국장 및 실록인출, 천릉역사에 참여한 각수 연구, 『서지학연구』 47) 2022.06.08. 1. 서언 • 조선은 王室役事를 통해 옥책ㆍ죽책ㆍ지석 등 다양한 기록류를 생산 → 刻手 동원 • 木刻手와 石刻手: 각수의 활동 및 작업 영역의 중복 여부를 검토할 필요성 • 검토 대상: 효종 국장, 『효종실록』 편찬, 영릉 천봉에 참여한 각수의 활동 영역 2. 각자의 일과 각수동원 (1) 국장 • 『효종국장도감의궤』(1659): 시책ㆍ애책ㆍ죽책ㆍ지석 등의 각자에 관한 상세한 내용 수록 구분 글자수 분량 재질 찬자 서사 시책 575자 12첩 72간 南陽 靑玉 조형(상호군) 송준길(이조판서) 애책 929자 20첩 - 이일상(대제학) .. 2022. 6. 13.
조선후기 화성 경관의 시각화 양상과 화성전도 조선후기 화성 경관의 시각화 양상과 화성전도 (박정애, 2021, 「조선후기 華城 경관의 시각화 양상과 華城全圖」, 『한국고지도연구』 13-2) 20220413 1. 머리말 • 수원화성도: 성역 준비부터 마무리까지의 과정을 반영 → 1789년(정조 13)~1801년(순조 1) 집중 제작 ‣ 성역이 완료된 화성 일대의 풍경을 살필 수 있는 시각 매체 ‣ 화성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 의미가 투영된 회화 사료 • 지방 읍성도 ‣ 18~19세기: 지방 읍성의 모습을 그린 회화식 지도와 實景圖 제작 ‣ 19세기: 성읍도 제작 활성화 → 화성전도 제작이 촉진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 • 논문의 목표 ‣ 화성전도의 정형이 확립되어가는 과정 검토 ‣ 화성전도의 역사적 의미와 19세기 지방 성읍도 전개 양상과의 관계.. 2022. 5. 16.
『영조국장도감의궤』의 목차 구성과 도청 인원 운용 『영조국장도감의궤』의 목차 구성과 도청 인원 운용 2022.04.20. 1. 의궤의 목차와 구성 • 座目: 19개 항목으로 구성 ‣ 영조국장도감의궤는 도감 좌목과 실제 구성이 대체로 일치 ‣ 도청의궤 중 [서계]는 좌목에 반영되지 않음 ‣ 일방~삼방의궤까지의 세부 목차는 반영되지 않음 • 국장도감의궤 간의 목차 비교 • 일방~삼방의궤의 세부 목차 비교 ‣ 일방의궤: 감결질, 반차도 → 일방의 기능과 관련 ① 역할: 大轝ㆍ靈座交椅ㆍ肩輿ㆍ腰輿ㆍ彩輿 등 제작 - 상여 행렬의 핵심 요소 → 발인 전반을 관할했을 것 ② 감결질: 발인 습의와 관련된 세부 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 (cf. 이방 – 吉儀仗ㆍ凶儀仗) 3차 습의 및 발인 때 吉儀仗은 全數 숭정문 밖의 신련이 있는 곳에 줄지어 늘어놓을 일. 【이방】 ∴.. 2022. 5. 9.
조선 전기 유학사 연구 살펴보기 조선 전기 유학사 연구 살펴보기 2022.03.28. 이 글은 조선 건국에서부터 16세기까지를 다룬 조선 유학사 연구의 성과를 대략적으로 개괄한 것이다. 다만 조선 건국과 성리학의 관계는 그간의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진 사안이기 때문에 14세기 말도 논의 범위에 포함했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는 ‘조선 전기’로 분류되고, 그 핵심적인 특징으로 ‘유교화’가 언급된다. 유교화를 보여주는 지표에는 정치세력, 사회구조, 친족질서 등 여러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짧은 글에서 그 많은 주제를 모두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성리학을 주로 정치이념으로 간주하고 탐구한 논저를 중심으로 조선 전기의 유교사를 개괄하려 한다. 1. 조선 건국과 성리학 그동안 조선 건국은 고려 후기 사회변동의 결과.. 2022. 3. 28.
조선 초기 의궤 편찬의 배경과 의의 조선 초기 의궤 편찬의 배경과 의의 (신명호, 2011, 「조선 초기 儀軌編纂의 배경과 의의」, 『조선시대사학보』 54) 2022.03.23. 1. 머리말 • 의궤 현황: 1,979건 3,637책 현존 → 모두 조선 후기에 제작 • 저자의 관심: 의궤 제작의 시점, 배경, 의의 ‣ 가설과 전제 ① 조선의 의궤는 신흥사대부의 유교적 국가의례 정비 과정에서 등장 ② 주자학의 기원은 원시유학ㆍ훈고학ㆍ유교의례와 밀접한 관련 ‣ 목적: 의궤 편찬의 역사적 배경과 의의 규명 2. 의궤의 의미와 유래 • 의궤: 儀와 軌가 결합된 용어 ‣ 儀: 주로 ‘禮’와 결합 → 儀禮, 禮儀 ‣ 軌: 주로 ‘範’과 결합 → 『樂學軌範』, 『文章軌範』 • 禮와 儀의 관계: 禮는 규범적 예법, 儀는 예의 실천에 부수되는 威儀 → 儀는.. 2022.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