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저 정리64

조선 초기 의궤 편찬의 배경과 의의 조선 초기 의궤 편찬의 배경과 의의 (신명호, 2011, 「조선 초기 儀軌編纂의 배경과 의의」, 『조선시대사학보』 54) 2022.03.23. 1. 머리말 • 의궤 현황: 1,979건 3,637책 현존 → 모두 조선 후기에 제작 • 저자의 관심: 의궤 제작의 시점, 배경, 의의 ‣ 가설과 전제 ① 조선의 의궤는 신흥사대부의 유교적 국가의례 정비 과정에서 등장 ② 주자학의 기원은 원시유학ㆍ훈고학ㆍ유교의례와 밀접한 관련 ‣ 목적: 의궤 편찬의 역사적 배경과 의의 규명 2. 의궤의 의미와 유래 • 의궤: 儀와 軌가 결합된 용어 ‣ 儀: 주로 ‘禮’와 결합 → 儀禮, 禮儀 ‣ 軌: 주로 ‘範’과 결합 → 『樂學軌範』, 『文章軌範』 • 禮와 儀의 관계: 禮는 규범적 예법, 儀는 예의 실천에 부수되는 威儀 → 儀는.. 2022. 3. 24.
장서각 소장 의궤의 현황과 기록유산의 가치 박용만, 2011, 「장서각 소장 의궤의 현황과 기록유산의 가치」, 『장서각』 26 2022.03.16. ▣ 주목할 점 ㆍ장서각에 어떤 종류의 의궤가 얼마나 소장되어있는가? ㆍ장서각에서는 의궤의 어떤 측면들을 중요하게 생각하는가? 1. 머리말 • 의궤의 정의: ‘儀禮의 軌範’ → 반복되는 비슷한 의례의 레퍼런스 • 의례서와의 차이? ‣ 『국조오례의』는 국가의례의 큰 골격을 제시한 원론적인 텍스트 ‣ 의궤는 의례의 시행절차, 행사 비용, 규모를 구체적으로 제시 ※ 이 논문에서 전제하는 두 텍스트의 관계는 적절한가? 그렇다면 火器都監儀軌 류의 의궤는? • 의궤의 구성: 관문서과 공작소 기록으로 구성 ‣ 관문서: 傳敎(국왕→관부), 啓辭(관부→국왕), 移文(동등한 관서 간), 來關(상위 관청→하위 관청), 甘.. 2022. 3. 17.
고려의 오복친과 친족관계 법제 노명호, 1981, 「高麗의 五服親과 親族關係 法制」, 『한국사연구』 33 정리일: 2021.09.30. 1. 서론 고려의 친족관계가 어떤 구조였으며, 그것이 고려 사회에서 어떤 영역에 어떻게 기능했는가? 저자는 이런 질문을 중심으로 五服制를 비롯한 고려의 친족 관계 법제를 검토한다. 저자는 선행연구에서 고려 사회의 일반적인 친족조직과 정치ㆍ사회단위를 성씨집단으로 전제해왔으나 정작 면밀히 논증된 적은 없다고 지적한다. 아울러 고려의 친족조직은 조선 후기와 달리 양측적 친속의 구조였다고 한다. 저자에 의하면 고려는 당ㆍ송의 법제를 받아들이면서 친족관계 법제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고려시대 친족조직의 구조가 중국의 그것과 달랐기 때문이다. 그점에 주목한 저자는 고려시대 친족관계 법제의 특징을 분석해서 고려시대.. 2021. 9. 30.
조선 초기 圓壇祭 시행의 난제와 독자 왕조의 의례 모색 장래건, 2022, 조선 초기 圓壇祭 시행의 난제와 독자 왕조의 의례 모색, 한국사론 68 이 연구는 변계량의 원단제 시행설이 등장하고 해소된 맥락을 중심으로 조선 초기 원단제 논쟁을 검토한 것이다. 조선 초기의 정치가들은 왜 원단제를 필요로 했는가. 그들이 원단제의 존폐를 두고 씨름했던 난제는 무엇이었는가. 당대인들은 이 난제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려 했는가. 논쟁의 결론은 어째서 원단제 폐지로 귀결되었는가. 이런 질문들이 이 글의 주된 관심사다. 연구의 초점을 변계량의 논법에 맞춘 것도 원단제 논쟁의 쟁점과 난제, 당대인의 대응 방식, 원단제 시행설의 실패 요인을 보여주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원단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한 것은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것처럼 제후국 분의를 준수해야 한다는 당위가.. 2021. 7. 19.
여말선초 도학의 성격과 도통론 심예인, 2018, 「여말선초 도학의 성격과 도통론」, 『조선시대사학보』 85 정리일: 2020.07.07 Ⅰ. 머리말 조선은 理學을 지배이념으로 하여 성립된 나라다. 이학은 程朱의 理學과 陸王의 心學을 아우른 개념이다. 조선의 유학은 그중에서 程朱 중심의 이학을 발전시켜 나간 것이 특색이다. 고려 말에 원나라로부터 이학이 수용되었는데, 고려는 주자성리학만이 아닌 이학의 다양한 학풍을 수용했다. 그런 점에서 여말선초 유학 사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려면 그간 통용되던 ‘성리학’보다는 ‘이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학은 흔히 ‘道學’이라고도 하는데, 고려 말의 학자들도 원나라에서 수용한 이학을 도학이라 했다. 자기 사상에 대한 우월의식이 강하게 반영된 도학은 道統論과 闢異端論, 의리실천.. 2020. 7. 7.
문장의 역할을 통해 본 15세기 斯文의 성격 오세현, 2017, 문장의 역할을 통해 본 15세기 斯文의 성격, 사학연구 127 2020.04.29. 머리말 17세기의 송시열은 주희의 견해를 일부 부정한 윤휴와 박세당을 ‘斯文亂賊’이라 비판했다. 그에게는 오직 주희의 학문만이 ‘斯文’의 기준이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조선 전기의 지식인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송시열과 달리 그들은 도학뿐 아니라 문장도 사문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했다. 개인의 인품을 평가할 때 그 사람의 도덕과 함께 문장력을 거론한 것도 그 때문이었다. 조선 후기에 사문에 관한 인식이 엄격해진 것은 사문의 다양한 구성 요소 중에서 道學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를 배제한 결과였다. 하지만 조선 전기에는 사문에서 근본적인 위상을 지닌 도학뿐 아니라 현실적 가치를 지닌 문장의 위상과 역.. 2020. 5. 3.
고려 말 私田 혁파와 과전법에 대한 재검토 이민우, 2015, 고려 말 私田 혁파와 과전법에 대한 재검토, 『규장각』 47 2020.04.13. 1. 머리말 위화도회군으로 국정을 장악한 이성계 세력은 사전을 혁파해서 고려의 토지제도를 전면적으로 개혁할 것을 요구했고, 격렬한 논쟁 끝에 결국 사전을 혁파하고 과전법을 제정했다. 고려 말 토지제도 개혁의 성과는 조선의 토지제도로 계승되었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고려 말의 토지제도 개혁은 수조권이 쇠퇴하고 소유권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을 뿐 아니라 조선 건국이라는 큰 정치적 변화로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그렇지만 토지제도 개혁의 결과인 과전법은 여전히 수조권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고려의 토지제도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한다. 저자는 고려 말 사람들의 인식이 기존 연구의 논점과 매우 다르다는 점을 지적.. 2020. 4. 23.
고려 말 정도전의 정치세력 형성 과정 연구 이익주, 2006, 고려 말 정도전의 정치세력 형성 과정 연구, 『동방학지』 134 정리: 2020.04.12. 1. 머리말 그간 조선 건국을 주도한 정치세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그 정치세력 내부의 구성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다. 저자는 조선 건국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던 정도전과 조준을 비교해서 조선건국세력 내부의 구성과 다양한 정치운영론을 규명하려 한다. 저자는 이전에 『삼봉집』의 시문을 분석해서 정도전이 이색 문하의 인물들과 활발히 교유한 반면 조준 계열의 인물들과는 소원했음을 밝혔다. (이익주, 2004) 저자는 그것이 정도전의 인간적인 교유에 국한된 것이었음을 밝히고, 이 글에서는 이전 연구의 연장선에서 정도전의 ‘정치적 관계’를 분석하려 했다. 즉, 정도전이 고려 말.. 2020. 4. 14.
선종구산문과 선문예참문의 문제점 허흥식, 1983, 「선종구산문과 선문예참문의 문제점」, 『역사교육논집』 5 2020.03.18. 그동안 한국사 연구에서는 나말여초에 선종이 성행하여 구산문(九山門)이 성립했다고 설명해왔다. 허흥식의 이 논문은 『선문조사예참문』(禪門祖師禮懺文)을 분석해서 신라 말에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이 성립했다는 종래의 설명 틀을 재검토하려는 글이다. 저자는 선종 조사에 대한 배례 의식을 수록한 『선문조사예참문』이 다른 저술에 비해서 “고려시대의 선종을 개괄해서 법맥(法脈)을 유추”하기에 훨씬 더 유용한 저작이라고 지적한다. 그의 설명에 의하면, 이 책에는 중국의 선종 조사 서른세 명뿐만 아니라 한국 측의 조사 열 사람에 대한 예참문도 실려있다. 이 열 명 중 아홉 사람은 나말여초에 활동했던 조사고, 나머지 한 사람.. 2020. 3. 20.
신라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 최병헌, 1972, 「신라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 –최치원의 四山碑銘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7 2020.03.18. 서언 최치원이 작성한 ‘四山碑銘’은 신라 하대의 불교사를 연구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자료라 한다. 저자는 이 글에서 최치원의 사산비명을 검토하여 신라 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이 어떤 역사적 의미를 지니는지 밝히려 한다. 사산비명을 중심으로 신라 하대의 선종사를 검토하기 때문에 저자는 검토 범위의 하한을 진성여왕 대로 설정했다. 1. 선종 성립 이전의 신라 불교 최치원은 불교가 백제ㆍ고구려ㆍ신라 순으로 수용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특히 신라의 불교 수용이 율령 반포 이후 8년 만에 이루어졌음을 특기했다. 당시 신라인들은 율령 반포를 전후한 법흥왕 대의 정치적 변혁을 대단히 중시했을 뿐 아니라 .. 2020.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