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화2

『대의각미록』과 조선 후기 화이론 김홍백, 2011, 「『大義覺迷錄』과 조선 후기 華夷論」, 『한국문화』 56 2019.08.02. 1. 서론: 중세 동아시아 비한인계 지식인의 화이론 저자는 曾靜역모사건(1728)으로 드러난 한족 지식인의 華夷論과 그것을 비판한 옹정제의 『大義覺迷錄』이 조선 후기 지식인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 살펴보고 그 사상사적 의미를 검토했다. 이 글에서 저자가 탐구한 궁극적인 목표는 박지원 등 북학파 지식인에게 ‘華’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저자가 선택한 전략은 이렇다. ①『대의각미록』에서 한족 화이론을 비판하는 쟁점을 검토한다. ②조선 후기 지식인들이 『대의각미록』을 어떻게 수용하고 논평했는지를 살펴본다. ③『대의각미록』에 관한 조선 후기 지식인의 논평과 입장의 의미를 小中華主義ㆍ北學論라는 측면에서 검토한.. 2019. 8. 2.
송시열과 중화 송시열과 중화 송시열(1607~1689)은 노론의 영수로 조선 후기 정치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 인물이다. 그러나 오늘날 그에 관한 평가는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송시열에 관한 부정적인 평가는 특히 사이비 역사학자 이덕일의 저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덕일은 송시열이 학술적 자유를 억압하고 조선을 친명 사대주의의 길로 빠뜨리고 말았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나는 송시열에 관한 이덕일의 평가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 특히 송시열을 ‘친명사대주의자’로 이해하는 그의 관점은 전혀 합리적이지 않다. 이덕일은 송시열이 마주했던 조선의 현실이 무엇이었으며 그의 고민이 어떤 것이었는지 전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송시열은 왜 중화를 그토록 강조한 것인가? 그가 중시했던 중화는 망해버린 그저 망해버.. 2018.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