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예인2

「여말선초 도학의 성격과 도통론」을 읽고 「여말선초 도학의 성격과 도통론」을 읽고 2020.07.07 심예인의 논문 「여말선초 도학의 성격과 도통론」은 제목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14~15세기의 도학과 도통론을 검토한 글이다. 이 논문의 핵심적인 목적은 정몽주에서 조광조로 이어지는 16세기 이후의 도학과 도통론으로 조선시대 전체의 도학과 도통론을 이해하려는 기존 연구의 경향을 수정하는 것이다. 저자의 논의에 따르면, 도학의 성격은 시기에 따라 달라졌다. 16세기의 도학이 ‘절의실천적’인 것이었다면, 15세기의 도학은 경학을 바탕으로 ‘경세실천’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도통론도 마찬가지였다. 16세기 이후의 도통론과는 사뭇 다른 도통론이 14~15세기에 이미 존재했고, 그 내용은 16세기의 도통과는 매우 달랐다. 16세기 이후의 도통이 주로 문묘에 .. 2020. 7. 8.
여말선초 도학의 성격과 도통론 심예인, 2018, 「여말선초 도학의 성격과 도통론」, 『조선시대사학보』 85 정리일: 2020.07.07 Ⅰ. 머리말 조선은 理學을 지배이념으로 하여 성립된 나라다. 이학은 程朱의 理學과 陸王의 心學을 아우른 개념이다. 조선의 유학은 그중에서 程朱 중심의 이학을 발전시켜 나간 것이 특색이다. 고려 말에 원나라로부터 이학이 수용되었는데, 고려는 주자성리학만이 아닌 이학의 다양한 학풍을 수용했다. 그런 점에서 여말선초 유학 사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려면 그간 통용되던 ‘성리학’보다는 ‘이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학은 흔히 ‘道學’이라고도 하는데, 고려 말의 학자들도 원나라에서 수용한 이학을 도학이라 했다. 자기 사상에 대한 우월의식이 강하게 반영된 도학은 道統論과 闢異端論, 의리실천.. 2020.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