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
김정희(金正喜)
漢書河間獻王傳云: “實事求是.” 此語乃學問最要之道. 若不實以事而但以空疎之術爲便, 不求其是而但以先入之言爲主, 其于聖賢之道, 未有不背而馳者矣.
『한서』의 하간헌왕전(河間獻王傳)에 이르기를 “사실에 근거하여 옳은 것을 추구한다”[實事求是]고 했다. 이 말은 학문에서 가장 중요한 도리다. 사실에 바탕을 두지 않으면서 그저 내용 없고 조잡한 방법을 편안하게 여기고 옳은 것을 추구하지 않으면서 그저 선입견[先入之言]을 주관으로 삼으면, 성현(聖賢)의 도에 배치되지 않은 것이 없었다.
漢儒于經傳訓詁, 皆有師承, 備極精實. 至于性道仁義等事, 因爾時人人皆知, 無庸深論, 故不多加推明. 然偶有注釋, 未甞不實事求是也.
自晉人講老莊虛無之學, 便于惰學空疎之人, 而學術一變, 至佛道大行而禪機所悟, 至流于支離, 不可究詰之境, 而學術又一變. 此無他, 與實事求是一語, 盡相反而已.
兩宋儒者闡明道學, 于性理等事, 精而言之, 實發古人所未發. 惟陸王等派, 又蹈空虛, 引儒入釋, 更甚于引釋入儒矣.
한나라의 유학자들은 경전 훈고(訓詁)에 대해서 모두 스승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므로 정밀하고 진실함을 지극히 갖추었다. 성(性)과 도(道), 인(仁)과 의(義) 등의 일에 대해서는 이때 사람들이모두 알았기 때문에 깊이 논의할 필요가 없었다. 그래서 더 파고들어 밝힌 것이 많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어쩌다가 주석을 달 경우가 생기면 사실에 근거하여 옳은 것을 추구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진(晉)나라 사람들이 노자와 장자가 내세운 허무(虛無)의 학술을 익혀서 학문을 게을리 하고 학식이 미천한 사람들을 편리하게 한 이래로 학술이 한 번 변했다. 불교의 도가 크게 행해져 선기(禪機)로 깨닫는 것이 지리한 데로 흘러 탐구하고 평가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서 학술이 또 한 번 변했다. 이것은 다름이 아니라 ‘사실에 근거하여 옳은 것을 추구한다’는 한 마디와 전부 상반된 것이다.
양송(兩宋: 북송과 남송)의 유학자들은 도학(道學)을 드러내어 밝히고 성리(性理) 등의 일에 대해 정밀하게 이야기했다. 이것은 실로 옛 사람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밝힌 것이다. 다만 육구연(陸九淵)과 왕수인(王守仁) 등의 학파가 또 공허(空虛)를 따라서 유학을 이끌고 불가로 들어갔으니, 불가를 이끌고 유학에 들어가는 것보다 더욱 심한 것이었다.
竊謂學問之道, 旣以堯舜禹湯文武周孔爲歸, 則當以實事求是, 其不可以虛論遁于非也. 學者尊漢儒, 精求訓詁, 此誠是也. 但聖賢之道, 譬若甲第大宅. 主者所居, 恒在堂室. 堂室非門逕, 不能入也. 訓詁者門逕也. 一生奔走于門逕之間, 不求升堂入室, 是廝僕矣. 故爲學, 必精求訓詁者, 爲其不誤于堂室, 非謂訓詁畢乃事也.
내가 가만히 생각하건대, 학문의 도리는 요ㆍ순ㆍ우ㆍ탕ㆍ문왕ㆍ무왕ㆍ주공ㆍ공자를 귀의처로 삼았으니 사실에 근거하여 옳은 것을 구해야지 헛된 논의를 일삼아 그른 것에 숨어서는 안 된다. 학문을 하는 사람이 한나라 유학자를 존숭하여 훈고를 정밀히 추구한다면 이것은 정말로 옳은 것이다. 그러나 성현(聖賢)의 도는 비유하자면 훌륭한 큰 저택[甲第大宅]과 같다. 주인이 머무는 곳은 항상 중당(中堂)과 내실(內室)에 있다. 중당과 내실은 문경(門逕: 대문 앞에 난 작은 길)이 아니면 들어갈 수 없다. 훈고라는 것은 문경과 같다. 일생 동안 문경 사이에서 분주할 뿐 중당에 오르고 내실에 들어갈 것을 추구하지 않는다면 이는 하인이다. 그러므로 학문을 할 때 반드시 훈고를 정밀하게 추구하는 것은 중당과 내실에서 잘못하지 않기 위해서다. 훈고를 하면 일이 끝난다고 말한 것이 아니다.
漢人不甚論堂室者, 因彼時門逕不誤, 堂室自不誤也. 晉宋以後, 學者務以高遠, 尊孔子, 以爲聖賢之道不若是之淺近也. 乃厭薄門逕而弃之, 別于超妙高遠處求之. 于是乎躡空騰虛, 往來于堂脊之上, 窓光樓影, 測度于思議之間, 究之奧戶屋漏, 未之親見也.
又或棄故喜新。以入甲第爲不若是之淺且易。因別開門逕而爭入之。此言室中幾楹。彼辨堂上幾棟。校論不休。而不知其所說已誤入西隣之乙第矣。甲第主者哦然笑曰。我家屋不爾爾也。
한나라 사람들이 중당과 내실을 깊이 논의하지 않은 것은 저때 문경이 잘못되지 않았고 중당과 내실이 본래 잘못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진나라와 송나라 이후에 학문하는 사람들이 고상하고 원대한 것에 힘쓰면서 공자를 존숭한 것은 성현의 도가 이와 같이 천근한 것이라고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문경을 싫어하고 하찮게 여기며 따로 초월적이고 오묘하며 고상하고 원대한 곳에서 그것을 찾은 것이다. 이에 허공(虛空)을 밟고 뛰어올라 용마루 위를 오가면서 창문의 불빛과 누각의 그림자를 생각과 짐작으로 헤아려서 집 안쪽과 방 안쪽을 탐구하지만 직접 본 것은 아니다.
또 어떤 사람은 옛것을 버려두고 새것을 좋아하여 훌륭한 저택[甲第]에 들어가는 것이 이처럼 간단하고 쉬울 리 없다고 여기고는 문을 열고 앞다퉈 들어간다. 이쪽에서는 방 안에 기둥이 몇 개인지를 말하고 저쪽에서는 중당 위에 대들보가 몇 개인지를 따진다. 그들은 비교하여 논의하기를 쉬지 않지만, 그들이 말하는 곳이 서쪽의 이웃집으로 잘못 들어간 것임은 알지 못한다. 훌륭한 저택의 주인은 놀란 기색으로 웃으며 이렇게 말한다. “내 집은 그렇지 않습니다.”
夫聖賢之道。在于躬行。不尙空論。實者當求。虛者無據。若索之杳冥之中。放乎空闊之際。是非莫辨。本意全失矣。故爲學之道。不必分漢宋之界。不必較鄭,王,程,朱之短長。不必爭朱,陸,薛,王之門戶。但平心靜氣。博學篤行。專主實事求是一語行之可矣。
무릇 성현의 도는 몸소 실천하되 공론(空論)을 숭상하지 않는 데 있으니 실(實)을 구해야지 허(虛)에 근거해서는 안 된다. 만약 그것을 아득하고 어두운 곳에서 찾거나 텅 비고 광활한 곳에 버려둔다면 옳고 그름을 분별하지 못하고 본래의 생각을 완전히 잃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학문의 도는 한나라 유학자와 송나라 유학자의 경계를 꼭 나눌 필요가 없고, 정현(鄭玄)ㆍ왕숙(王肅)ㆍ정자(程子)ㆍ주자(朱子)의 장점과 단점을 꼭 비교할 필요도 없으며, 주희(朱熹)ㆍ육구연(陸九淵)ㆍ설선(薛瑄)ㆍ왕수인(王守仁)의 문호(門戶)를 꼭 다툴 필요도 없다. 그저 마음을 안정시키고 기를 고요하게 하며 널리 배우고 독실하게 실천하는 것을 오로지 ‘사실에 근거하여 옳은 것을 추구한다’는 한 마디를 위주로 행하면 된다.
'읽고 쓰기 > 조선시대 기록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자]1866년 백종수 원납전단자 (0) | 2019.09.26 |
---|---|
[소지]1699년 이동표의 종 분선이 올린 소지 (0) | 2019.09.26 |
[준호구]1750년 임동빈 준호구 (0) | 2019.09.10 |
송시열과 중화 (0) | 2018.04.16 |
허균 - 유재론(遺才論) (0) | 2018.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