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6 『영조국장도감의궤』의 목차 구성과 도청 인원 운용 『영조국장도감의궤』의 목차 구성과 도청 인원 운용 2022.04.20. 1. 의궤의 목차와 구성 • 座目: 19개 항목으로 구성 ‣ 영조국장도감의궤는 도감 좌목과 실제 구성이 대체로 일치 ‣ 도청의궤 중 [서계]는 좌목에 반영되지 않음 ‣ 일방~삼방의궤까지의 세부 목차는 반영되지 않음 • 국장도감의궤 간의 목차 비교 • 일방~삼방의궤의 세부 목차 비교 ‣ 일방의궤: 감결질, 반차도 → 일방의 기능과 관련 ① 역할: 大轝ㆍ靈座交椅ㆍ肩輿ㆍ腰輿ㆍ彩輿 등 제작 - 상여 행렬의 핵심 요소 → 발인 전반을 관할했을 것 ② 감결질: 발인 습의와 관련된 세부 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 (cf. 이방 – 吉儀仗ㆍ凶儀仗) 3차 습의 및 발인 때 吉儀仗은 全數 숭정문 밖의 신련이 있는 곳에 줄지어 늘어놓을 일. 【이방】 ∴.. 2022. 5. 9. 조선 전기 유학사 연구 살펴보기 조선 전기 유학사 연구 살펴보기 2022.03.28. 이 글은 조선 건국에서부터 16세기까지를 다룬 조선 유학사 연구의 성과를 대략적으로 개괄한 것이다. 다만 조선 건국과 성리학의 관계는 그간의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진 사안이기 때문에 14세기 말도 논의 범위에 포함했다. 일반적으로 이 시기는 ‘조선 전기’로 분류되고, 그 핵심적인 특징으로 ‘유교화’가 언급된다. 유교화를 보여주는 지표에는 정치세력, 사회구조, 친족질서 등 여러 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짧은 글에서 그 많은 주제를 모두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성리학을 주로 정치이념으로 간주하고 탐구한 논저를 중심으로 조선 전기의 유교사를 개괄하려 한다. 1. 조선 건국과 성리학 그동안 조선 건국은 고려 후기 사회변동의 결과.. 2022. 3. 28. 조선의 건국과 유교문화의 확대 도현철, 2004, 「조선의 건국과 유교문화의 확대」, 『동방학지』 124 2016.12.16 1. 머리말 저자에 따르면, 고려 말에 등장한 사대부는 고려의 대내외적 위기를 타개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 그들은 위화도 회군, 전제개혁, 조선왕조 개창 등 일련의 역사적 과정 속에서 하ㆍ은ㆍ주 삼대(三代)를 모델로 하는 새로운 국가의 건설과 경영을 지향했다. 이러한 지향 속에서 성리학을 개혁사상으로 하여 정치체제 개혁을 도모했지만 현실의 이해관계가 얽혀 쉽지 않았다. 새로운 국가상에 대한 이견이 존재했고, 유교와 불교의 교체가 한순간에 이루어질 수 없었다. 도교와 불교에 기초하여 운영되던 향촌 사회를 재편하는 것도 어려운 과제였다. 따라서 사대부는 성리학적 이념에 기초한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불교를.. 2019. 10. 19. 청의 조선사행 인선과 ‘대청제국체제’ 구범진, 2008, 「淸의 朝鮮使行 人選과 ‘大淸帝國體制’」, 『인문논총』 59 2019.08.02. 1. 서론 그동안 조선이 명ㆍ청에 파견한 使行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명ㆍ청이 조선에 파견한 勅使에 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책봉-조공체제’였다면 ‘조공’의 측면 뿐 아니라 ‘책봉’의 측면에서도 양국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저자는 청이 조선에 파견했던 칙사 人選 문제를 고찰한다. 그에 따르면,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검토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다. 저자는 『同文彙考』 「詔勅錄」에 기록된 조선사행 칙사의 관직과 이름을 검토했다. 그 결과 청이 조선에 파견하는 사신을 선발할 때 줄곧 漢人 배제의 원칙을 준수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 논문은.. 2019. 8. 3. 조선을 '가부장제' 사회로 불러도 좋은가? 조선을 '가부장제' 사회로 불러도 좋은가? - ‘종법’과 ‘가부장제’의 개념 문제에 관한 검토 - 2019.06.28 1. 조선의 가족질서 변화를 보는 시선 일반적으로 조선 시대의 가족질서는 17세기를 기준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고 본다. 고려의 유풍(遺風)이 남아있던 15~16세기에 양측적 친속체계가 여전히 남아있었다면, 17세기 이후에는 종법 질서가 확산하면서 부계 친족 중심의 가족질서가 일반적인 형태로 자리 잡았다고 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17세기를 기점으로 가족질서가 달라졌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매우 많다.[각주:1] 조선 전기의 족보에는 자녀의 성별과 관계없이 출생 순서대로 족보에 기재했다. 친손과 외손을 구별하지 않고 모두 족보에 싣기도 했다. 재산 상속이나 제사 문제에서도 아들과 딸을 구.. 2019. 7. 1. 조선 사회의 유교화와 여성의 위상 이남희, 「조선 사회의 유교화와 여성의 위상 –15ㆍ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8, 2011) 정리일자: 2019.05.29 1. 머리말 저자는 15~16세기 족보를 통해 조선 시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를 검토하려고 한다. 조선 사회의 유교화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매우 중대한 변화를 초래했다. 2. 족보와 사회사 (1) 자료로서의 족보 한 씨족 시조 이하의 모든 구성원을 수록하는 형태의 족보가 나타난 시점은 15세기 이후기는 하지만, 15~16세기에도 족보 간행이 활발했던 것은 아니었다. 왕조 교체로 인한 정치적ㆍ사회적 혼란은 조선 초기에 족보 간행이 활발하지 못했던 배경 중 하나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15~16세기의 족보 편찬은 중앙정계에서 활동한 인물을 .. 2019. 5. 29. 이전 1 다음